본문 바로가기

인증NEWS

2013년도 이노비즈기업 정밀 실태조사

2013년 이노비즈기업 정밀 실태조사

 

이노비즈기업

- Innovation(혁신)과 Business(기업)의 합성어로 체계적인 R&D를 통한 기술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설립 3년 이상의 미래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술 혁신형 중소기업을 지칭

(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법 제15조 및 동법 시행령 제13조)

 

 

1

2013년 이노비즈기업 정밀실태조사 조사 개요

 

1

조사대상

'12년말 기준 이노비즈기업(17,298개사)

2

조사기관

(사)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

3

조사기간

'13.08.19 ~ 10.25

4

조사내용

기업일반현황, 인력현황, 기술 및 혁신성 현황, 수출현황, 경영애로사항 및 지원정책 평가, 주요 증소기업 이슈 등

5

조사방법

◦ 일반적 특성 및 현황 : 이노비즈기업 설문조사 1,901개사

◦ 경영성과 및 재무현황 : 이노비즈기업 나이스 재무데이터 17,298개 중 15,030개사

◦ 성과분석: 일반중소기업 나이스 재무데이터 5,000개사(중소기업실태조사 표본분포와 동일비율 기준 데이터 추출)

◦ 신뢰수준 95%로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 ±2.05%

 

 

2

2013년 이노비즈기업 정밀실태조사 조사 결과

 

① 이노비즈기업은 높은 기술역량을 바탕으로 중소기업 기술혁신 선도

 

(기술혁신주도) '12년말 제조업 분야 이노비즈기업은 총 13,233개사로 제조중소기업 대비 11.3%, 기술개발기업 대비 41.2%로 전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주도

* 이노비즈기업 업종 분포 : 제조업(76.5%), 비제조업(23.5%)

* 이노비즈 제조기업 비중 : 73.9%('09) → 76.1%('10) → 77.7%('11) → 76.5%('12)

주1) 기술개발기업 : 중소제조업 중 기술개발 투자기업(중소기업실태조사)

주2) 이노비즈 제조기업 : 이노비즈기업 중 제조업 영위 기업

주3) '12년 '중소제조업' 및 R&D수행 중소제조업'은 4개년('08년~'11년)간 평균임

주4) ( )는 각 기준대비 이노비즈 제조기업의 비중

(R&D집적도) 제조업 분야 이노비즈기업의 매출액 대비 연구 개발비 비율은 3.2%로 제조대기업 1.93%와 제조중소기업 1.13%보다 높으며, 전년 대비 0.4%p 증가

< 대ㆍ중소ㆍ이노비즈 제조기업 간 R&D집적도 비교 >

* 한국은행(2013), 2012년 기업경영분석 / 중소기업청(2013), 2013년 이노비즈기업 정밀실태조사

** 대기업, 중소기업 : 제조업 기준

(연구개발 조직화) 연구개발조직형태는 기업부설연구소 70.4%, 연구개발부(실) 12.6% 순으로, 전체 94.7%가 R&D조직 보유

(산업재산권보유) 기업당 평균 9.1개의 산업재산권을 보유

* 특허권 4.7건, 상표권 1.6건, 디자인권 1.6건, 실용신안권 1.2건 순

- 보유하고 있는 특허권(4.7건) 중 실제매출이 발생한 특허권은 3.2건

(인증기업수) '01년 제도 도입 이후 '06년~'08년 급격히 증가하였으나, '09년 부터 완만한 증가세를 유지하여 '12년말 현재 17,298개 지정

< 연도별 이노비즈기업 현황 >

* '12년말 기준 '01년 제도 도입 이후 연평균 28.6%의 증가율을 기록

 

② 높은 수익성과 안정성 강화로 내실화 지속

 

 

(수익성) 영업이익률과 당기순이익률은 각각 5.0%, 3.0%로 중소기업(각각 3.1%, 1.8%)과 대기업(각각 4.6%, 2.9%)보다 높음

- 업종별 매출액, 영업이익, 그리고 당기순이익 모두 '제조업'이 '비제조업'에 비해 높게 나타남

- 영업이익은 7.2억원('11)에서 7.3억원('12)으로 소폭 증가하고, 당기 순이익은 4.0억원('11)에서 4.4억원으로('12) 약 10% 증가

(안정성) 부채비율은 124.9%로 대기업(140.1%)과 중소기업(174.3%)에 비해 낮고, '11년(139.5%)과 비교하여도 14.6%p 감소

< 대ㆍ중소ㆍ이노비즈기업 간 부채비율 비교 >

(성장성) 평균 매출액은 '11년 147.3억원에서 '12년 146.9억원으로 전년 수준

* ('10) 139.8억원 → ('11) 147.3억원 → ('12) 146.9억원

- 한국경제는 '12년 대내외 여건 악화로 '전기/전자'를 제외한 전 산업에서 성장성(매출액 증가율) 대폭 둔화

- 특히 '기계/금속'업종은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여 '기계/금속' 업종비중이 높은(33.7%) 이노비즈기업 전체 매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

< 기업규모 및 업종별 제조업 성장지표 >

* 출처: 한국은행(2013), 2012년 기업경영분석

< 이노비즈기업의 업종별 비중 >

 

③ 기술경쟁력과 해외투자확대로 지속적 수출성과 증대 시현

 

 

(수출기업비중) 최근 3년간 전체 이노비즈기업 대비 수출기업의 비중은 41.1%('10)에서 51.1%('12)로 지속 증가

* ('10) 41.1% → ('11) 50.9% → ('12) 51.1%

(직간접 수출비중) 수출 이노비즈기업의 직간접수출 비중은 각각 62.3%와 37.7%로 나타나 직접수출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

(평균수출액) 최근 3년간 수출기업의 평균 수출액도 46억원('10)에서 54억원('12)으로 연평균 8.3% 지속 성장

* ('10) 46억원 → ('11) 49억원 → ('12) 54억원

(주요수출국가) 높은 기술경쟁력을 바탕으로 전체 중소기업 대비 높은 선진국 수출 비중

* 주요 수출국 현황('12년도 기준)

ㆍ이노비즈 : 중국 29.1% → 일본 15.6% → 아세안 14.8% → 미국 13.4% EU 10.8%

ㆍ중소기업 : 중국 23.8% → 아세안 15.3% → 일본 11.1%미국 9.9%EU 7.6%

(해외투자액) '12년 33백만원에서 '13년 59백만원으로 약 2배 증가

(수출애로사항) 외부환경 요인은 '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한 시장위축'(49.9%), 내부역량 요인은 '판로 확보 및 개척'(57.5%)으로 나타남

④ 어려운 경영여건에도 인력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, '14년 약 6만9천명 신규 일자리창출 전망

(고용인원) 평균 종사자는 44.6명으로 '11년 대비 평균 1.4명 증가

* 고용인원 : ('10) 41.1명 → ('11) 43.2명 → ('12) 44.6명

* 정규직 ('11) 40.0명 → ('12) 42.2명 / 비정규직 ('11) 3.2명 → ('12) 2.4명

< 이노비즈기업 연도별 종사자 현황 >

-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47.0명, 비제조업이 40.0명으로 조사됨

< 이노비즈기업 업종별 종사자 현황 >

- 인력 부족률은 6.7%로 '11년 7.0%보다 소폭 감소하였고, 부족인원은 3.1명(정규직 기준)으로 나타남

* 인력부족율 : 영업마케팅(9.4%), 연구개발/기술직(6.6%), 생산직(6.3%) 순

* 필요인력 : 생산직(1.3명), 연구개발/기술직(0.8명), 영업마케팅(0.5명) 순

< 이노비즈기업 부족인원 현황 >

(일자리창출) 지난 3년간('10∼'12년) 매년 3만개 이상, 총 9만6천여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였고, '13년에는 3만7천여(10월 말 기준)개의 일자리를 창출하여 일자리창출의 보고로 자리매김

* ('10) 32,009명 → ('11) 30,744명 → ('12) 33,898명 → ('13) 37,367명

* 고용노동부 고용보험DB 종사자 수 순수증감(신규고용-퇴직인력) 기준